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아자 사회1부 최주현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<br>[Q1] 단 두 번 복용했는데 두 달 가까이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고 하니 마약의 폐해가 얼마나 큰지 실감이 나는데요. <br> <br>확실히 10대에게 마약은 더 치명적인 것 같아요. <br><br>저희도 최 양을 만난 뒤 마약 후유증이 이렇게 심각한 지 실감했습니다. <br> <br>최 양의 말 들어보겠습니다. <br> <br>[최모 양 / 중학생 마약 투약자] <br>"가끔 간지럽고 조금 생각나면서 스트레스 받고 화가 확 나거나 갑자기 충동적인 생각이 들거나 그리고 약이 자꾸 생각나잖아요. 누가 여기서 조잘조잘 이야기하면 내 이야기 하나 아니면 나를 때릴 것 같다" <br> <br>더욱 충격적인 건, 최 양의 투약이 단 두 차례 였다는 건데요, <br> <br>전문가들은 성장기 중독은 성인기 중독으로 이어지기가 쉬워 더욱 위험하다고 말합니다. <br><br>위험을 예측하고 자극을 조절하는 능력을 담당하는 전두엽에 마약이 줬던 강력한 자극이 '각인'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[이해국 /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 <br>"20살 정도가 되어야 나쁜 것을 예측해서 현재 행동을 조절하는 뇌 기능이 완성됩니다. 15세 이전에 여러 가지 중독에 노출된 아이들에게 20세 이후 훨씬 더 중독성이 강하다." <br><br>[Q2] 취재팀이 사흘 취재한 걸 보면 10대 청소년 누구나 마약을 구하기 쉽다는 것도 문제에요. <br><br>저희가 만난 10대 청소년 모두, 마약을 구하는게 너무 쉬웠다고 입을 모아 말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10대들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는 게 능숙한데요, <br> <br>최 양의 경우도 "구매와 투약 방법 모두 온라인 상에서 스스로 배우고 익혔다"고 털어놨습니다. <br><br>심지어 가상화폐가 없어도 판매책이 코인계좌에 대리 입금하는 법까지 알려주는 등 큰 어려움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. <br><br>그런가 하면 비용 측면에서도 접근이 쉽다는 문제가 있는데요, <br> <br>경찰도 최근 마약 판매 가격이 2010년대의 거의 절반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한 경찰 관계자는 "한 회 분으로 환산하면 말그대로 피자 한 판 가격 수준"이라고 분석했습니다. <br><br>처음부터 못하게 해야 하는데 부모들도 참 알기가 힘들어요. 다크웹, 가상화폐 이런 거 아이들보다 오히려 부모들이 잘 모르는 경우가 많거든요. <br><br>이틀전 보도해드린 고3 학생 3명의 마약 유통 투약 사건 기억하실 겁니다. <br> <br>학생들이 공부방을 마약 유통 사무실로 썼지만 부모들은 경찰 수사가 시작된 뒤에야 범행을 알았는데요, <br> <br>저희가 만난 식욕억제제 10대 투약자도 경찰 조사가 시작된 뒤에야 부모가 아는 등 부모들이 먼저 마약 투약을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> <br>[Q4]10대들은 또 신고나 치료가 더 어렵다면서요? <br><br>최양의 경우 어머니의 112 신고 덕에 곧바로 회복 치료를 받고 있는데요, <br> <br>일부 10대 마약 사범, 그리고 부모들은 신고나 치료를 꺼린다고 합니다. <br> <br>학교에 소문이 나거나 입시 방해가 될까봐 소환 조사나 병원 치료를 거부하는 건데요. <br> <br>강남 학원가 마약음료 사건의 경우도, 경찰이 전달책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마시고도 신고하지 않은 피해자가 드러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[Q5]시청자 질문도 들어보죠. 어떻게 이거 막아야 합니까. 대책이 중요하죠? <br><br>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악 소리 나게 잡는다고 강한 처벌을 주문했죠. <br> <br>처벌을 하려면 일단 잡아야 하는데요, <br> <br>마약 거래에 주로 활용되는 텔레그램은, 범죄자 정보를 수사기관에 제출하지 않는 걸로 악명 높습니다. <br> <br>그렇다보니, 지금 이 시점에도 마약 거래가 성행을 하는 건데요. <br> <br>바로 어제 저희가 텔레그램에 접속했을 때도 한 마약 거래방 접속자가 2500명에 달할 정도였습니다. <br> <br>경찰과 검찰이 디지털 성범죄 수사에 활용하는 것처럼 위장, 잠입수사가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또 저희가 만난 10대 투약자들은 공통적으로 마약이 얼마나 무서운지 제대로 배운적이 없다고 말했는데요 <br> <br>예방교육과 치료 처벌이 모두 강화돼야 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